
본고는 아무 것도 몰랐던 대학교 4학년 학위 논문으로 작성했던 것이다. 지금 보면 굉장히 어설프고 이게 무슨 문장이지? 싶기도 하고, 왜 내가 작성하지 않은 글 같은데 각주가 안 달려 있지도 싶고 참 어설픈 글이 아닐 수 없다. 대학원에 입학하고 교수님을 만나며 참 무지함을 깨달았던 시기가 한~~참 지나고 이제 와서 살짝 보니 더 이상 읽어줄 수 없는 글인 거 같다. ㅎㅎ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전소설의 OSMU로 가장 적합한 것이 홍길동전이 아닌가 싶어 오래된 메일에서 찾은 학위논문이니 필요하신 분들은 참고하시기 바란다. ㅎ Ⅰ.서론 1.연구 목적 ‘디지털’로 대표되는 매체 기술의 변화가 서사문학에 끼치는 영향력은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비유될 정도로 막대하다. 특히 디지털 신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문화콘텐츠 ..

1.1. 큐레이터(curator) 미술관 · 박물관 등에 전시되는 작품을 기획하고 설명해주는 사람. 1.2. 큐레이션(curation) 큐레이터에서 파생한 신조어. 인터넷에서 원하는 콘텐츠를 수집해 공유하고 가치를 부여해 다른 사람이 소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 즉,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정보의 양과 한눈에 알기 쉬운 정보라는 양립적인 트렌드를 중재하는 개념. 단순히 기계적 · 기술적인 자료의 수집 · 선별이 아닌 정보를 최종적으로 인간 큐레이터가 선별한다는 것이 특징. 1.3. 큐레이션 사업군의 특징 ① 열성적인 아마추어가 큐레이터가 될 수 있다. ② 고객의 수요를 파악하고 즉시 실행할 때 성공할 수 있다. ③ UGC(User-Generated Contents)를 활용한다. 1.4. 큐레이슈머(C..

아래 글은 2014년 제가 작성한 소논문 수준도 안되는 짧은 견해입니다. 뮤지컬을 사랑하는 마음에 라이선스 뮤지컬의 대한 한국적 재해석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그리고 어떠한 사례들이 있는지에 대한 견해로 참고하실 분들께서는 비공개 댓글이라도 남겨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라이선스 뮤지컬의 한국적 재해석 사례 분석 -뮤지컬 의 이야기 구성 요소 비교를 중심으로 I. 한국 뮤지컬 시장의 확대와 새로운 가능성 II. 원작 뮤지컬 의 이야기 구조 III. 라이선스 뮤지컬 의 이야기 구조 IV. 라이선스 뮤지컬 의 이야기 구성 요소 변용 양상 1. 캐릭터의 변화 2. 사건의 변화 V. 결론 * 참고문헌 I. 한국 뮤지컬 시장의 확대와 새로운 가능성 최근 현대인들의 소득수준이 향상되면서 다양한 문화생활을 영위하려..

1. 문화사업과 마케팅 1.1. 문화와 예술 • 문화사업 또는 조직은 사회에서 중요한 위치에 차지한다. • 예술가는 문화사업의 전반적인 부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모든 문화사업은 예술가들에게 중요한 역할을 부여하고 창조적인 활동이 필요한 제품을 만 들어낸다는 특징을 갖는다. • 예술기업요소와 문화사업의 구분 제품 원형 4 1 3 2 시장 관점 제품 관점 재생품 원형 1.2. 마케팅의 발전 • 마케팅의 목표는 기업과 고객 간의 관계를 최적화하고 양자간 상호 만족을 최대화하는 데 있다. • 매카시(McCarthy)는 마케팅 믹스의 요소들을 제품(product), 가격(price), 유통(place), 판 촉(promotion)의 4P로 조직하였다. •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에 이르러서는 마케..

오스트리아의 경제학자 슘페터(Joseph Alois Schumpeter)가 제시한 창조적 파괴 이론은 경제적 혁신과 비즈니스 사이클을 의미하며 단순하게는 창조적 혁신을 의미한다. 즉, 혁신적 파괴행위로 인해 새로운 제품이 성공적으로 탄생하는 것이다. 이후 다른 기업들이 혁신 제품과 기술을 모방하게 되면 이 창조적 혁신의 가치는 점점 소멸하게 될 것이고 다시 새로운 혁신 기업에 의한 창조적 파괴가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이 곧 자본주의의 원동력이자 기술 발달에 경제가 적응해 나가는 원리이다. 애플의 창조적 파괴 행위는 새로운 플랫폼의 등장으로 인한 기존 패러다임의 변화를 야기 시켰다. 아이팟과 아이폰은 각각 아이튠즈와 앱 스토어라는 플랫폼과 함께 등장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동시에 소비되는 새로운 소..

1) 전체 요약 콘텐츠의 생산, 유통, 소비를 구성하는 생태계 전반적 이슈들에 대한 기본 개념에 대해 알 수 있다. 2) 주요 시사점 1. 콘텐츠란? ∙ 영화, 음악, 연극, 공연, 애니메이션, 게임, 사진, 출판 등 영상과 비영상의 영역으로 구분 되는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것. ∙ 콘텐츠는 창의적 생산이라는 관점에서 창조와 저작권이라는 단어나 삶의 양식의 표현이라 는 관점에서 문화라는 단어와 흔히 혼용되고 있음. ∙ 해럴드 라스웰(Harold Laswell)의 SMCRE 모델 전달자(Sender)가 메시지(Message)를 채널(Channel)을 통해 수용자(Receiver)에게 보내 면 그 효과와 영향(Effect)이 발생하는 커뮤니케이션 과정. ∙ 콘텐츠의 특징 ① 콘텐츠는 메시지와 저작물을 전달..

1) 전체요약 ‘문화콘텐츠’란 주체와 객체를 구성요소로 하고, 서비스를 중심으로 주체와 객체 간에 이루어지는 끊임없는 내적 교감이 객체의 감정을 유발시켜, 정신적 고양과 해방감, 카타르시스를 얻게 하는 일종의 커뮤니케이션 툴이다. 이러한 문화콘텐츠를 상업적 가치 중심의 통합적 관점에서 총체적으로 연구하는 실용 학문을 ‘문화콘텐츠학’이라 한다. 2) 주요 시사점 · 신을 즐겁게 해주고 위무하려는 인간의 주체적 서비스 행위가 문화콘텐츠의 기원이다. 이러한 서비스 행위가 신을 인간으로 대체, 진화해 가는 양상을 보이는데, 이것이 바로 문화콘텐츠의 원형이다. · 2002년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KOCCA)이 설립되면서 ‘문화’와 ‘콘텐츠’의 합성어인 ‘문화콘텐츠’라는 신조어는 자연스럽게 드라마, 대중가요, 영화,..
- Total
- Today
- Yesterday
- 달바화이트트러플
- 수소전기차
- 하이테크
- 부모님선물
- 존나이스비트
- 소비심리학
- 달바세럼
- 문화마케팅
- 요소수대장주
- 휴리스틱
- 유록스
- 챗지피티
- 커뮤니케이션북스
- 쿠팡체험단
- 방짜유기
- ChatGPT
- 문화콘텐츠
- 하이테크하이터치
- 넥쏘시승기
- 하이터치
- 현대소설
- 쿠팡체험단고가
- 마이카솔로몬
- 문화콘텐츠마케팅
- 요소수관련주
- 달바
- 디젤요소수
- 넥쏘
- 유록스가격
- 행동경제학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